2025년 건강보험료 요율이 오를지 동결될지 궁금하시죠? 국민의 관심이 높은 이 주제, 올해와 달라진 점들을 함께 알아볼게요.
2025년 건강보험 요율, 변동 없어요!
내년 건강보험료율이 올해와 동일한 7.09%로 유지됩니다. "보험료가 또 오른다고?" 걱정하셨다면 안심하세요. 이번 결정으로 2년 연속 보험료 동결이 되었는데요, 정부는 국민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해요.
건강보험료율 변화 (주요 연도)
연도건강보험료율비고
2009 | 5.08% | 첫 동결 |
2017 | 6.12% | 두 번째 동결 |
2024 | 7.09% | 세 번째 동결 |
2025 | 7.09% | 첫 2년 연속 동결 |
건강보험료 및 장기요양보험료 계산
2025년 기준으로 연봉에 따라 실제 부담해야 할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.
1. 건강보험료 계산법
건강보험료는 소득의 7.09%를 기준으로 산정되며,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3.545%씩 부담합니다.
- 연봉 기준 월 소득(세전 급여) = 연봉 ÷ 12
- 월 소득에 3.545%를 곱하면 근로자가 부담할 월 건강보험료를 알 수 있습니다.
2. 장기요양보험료란?
장기요양보험은 노인성 질환(치매, 뇌졸중 등)을 가진 환자나 노인의 돌봄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건강보험료의 12.95%에 해당하는 금액이 장기요양보험료로 부과됩니다
이 보험은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 돌봄 부담을 줄이고, 필요할 때 간호 서비스, 요양시설 이용 등을 지원합니다.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관리하며, 건강보험 가입자는 의무적으로 가입하게 되어 있습니다
연봉별 실제 납부 금액 예시
(사업주 부담분 제외, 근로자 본인 부담 기준)
연봉 (원) | 월 소득 (원) | 월 건강보험료 (원) | 월 장기요양보험료 (원) | 총 월 납부액 (원) |
40,000,000 | 3,333,333 | 118,330 | 15,330 | 133,660 |
50,000,000 | 4,166,667 | 147,920 | 19,170 | 167,090 |
60,000,000 | 5,000,000 | 177,500 | 23,000 | 200,500 |
70,000,000 | 5,833,333 | 207,080 | 26,830 | 233,910 |
80,000,000 | 6,666,667 | 236,670 | 30,670 | 267,340 |
- 연봉 6천만 원(월 소득 500만 원)일 경우:
- 월 건강보험료 = 500만 원 × 3.545% ≈ 177,500원
- 월 장기요양보험료 = 건강보험료 × 12.95% ≈ 23,000원
- 총 납부액 = 200,500원
추석 연휴 대책, 알고 가세요!
추석 연휴 동안 병원 이용이 어렵진 않을까 걱정하시는 분들도 많죠. 정부는 추석 연휴 응급환자 대책도 마련했답니다.
- 응급실 경증 환자 분산: 심야와 공휴일 진료 강화
- 추석 연휴 진찰료 인상: 병·의원(50%), 약국(30%)
- 응급수술 가산금 확대: 중증 환자의 빠른 치료 보장
이 외에도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한 200곳 지정 코로나 협력병원과 발열클리닉 운영 강화로 더 안전한 환경을 준비했다고 해요. 이상 2025년 건강보험료 요율에 대한 포스팅을 마칩니다.
'복지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소방 경찰 공무원 봉급표 공개! 월급 인상률은? (0) | 2024.12.13 |
---|---|
서울시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사업: 모든 정보를 한눈에! (0) | 2024.11.21 |
인천시 출산지원금 요약: 천사지원금 & 아이꿈수당 (1) | 2024.11.19 |
댓글